Tag Archives: artv

왕현민展(갤러리 M)_20220917

//평 론//독일의 바우하우스 운동은 그 전사(前史)로서 영국의 ‘예술공예운동(아트앤크래프트 무브먼트 art and craft movement))’에 대해 설명하지 않고서는 온전히 설명할 수 없다. 예술공예운동은 서구에서 전승되어오던 미의 기준이나 사회적인 호감과 합의를 이어가면서도 새롭게 불어닥친 기계화시대 및 대중사회의 요구에…

신홍직展(금련산역 갤러리)_20220927

//보도 자료문//제18회 송혜수 미술상 수상자로 서양화가 신홍직 작가가 선정됐다. (사)부산미술협회는 자연과 대면한 순간의 정제되지 않은 감흥을 화폭에 담아온 신홍직 작가를 제18회 송혜수 미술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7일 발표했다. 신홍직 작가는 붓이 아니라 손이나 나이프를 이용해, 자연과…

김인옥展(해운대아트센터)_20221001

//전시 서문//‘관계’시리즈에서 보여주는 자연과의 소통 방법은 ‘들여다보기’이다. ‘들여다보기’는 자연의 관점으로 세계를 보는 것이다. 이는 자연이 더 이상 남이 아니고 내가 자연임을 깨달을 수 있게 한다. 세계를 좀 더 자세하고 정확히 보기 위한 ‘들여다보기’의 방법을 통해,…

강다현展(갤러리 서린 스페이스)_20220826

//작가 노트//Grotesque Series Ivory Tower는 멸종동물이 도살당한 현장의 참혹한 모습을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로 생생하게 보여준다. 해골과 심장들은 새까맣게 탄 채로 섬뜩한 빛을 내뿜으며 유골함에 담겨져 있고(CUBE), 뼈와 상아는 발골된 상태로 전리품인 양 벽에 달려 싸구려 액자를…

서영展(부산 프랑스문화원 아트스페이스)_20220908

//전시 소개//다가오는 9월, 부산 프랑스문화원 ART SPACE는 우리에게 익숙할 지 모르는 ‘공간(空間)’을 시각화한 작가 서영의 새로운 ‘경계’ 시리즈로 전시장 공간이 색다르게 거듭날 예정이다. 작가 서영은 평소 우리가 생활하며 익숙한 장소(場所) 즉, ‘공간’을 꾸준히 탐구하며 그…

김미진展(이젤 갤러리)_20220921

//작가 노트//나는 왜 이런 류의 그림을 그리고 있는가?스스로도 궁금하여 정신분석학적으로 접근해 보기로 했다. 아마도 유년시절, 상상의 나래를 펼쳐야 할 시기에 충분치 못한 해소로 인한 것이 아닐까 한다. 인형을 좋아했고 그래서 인형그림을 그리며 놀았다 그러다 곧…

이갑임展(아리안 갤러리)_20220906

//전시 소개//어느 마을 수의사가 있었는데 뉘 집 돼지나 소가 새끼는 낳는 날이면 밤을 새서라도 새끼를 받고, 뉘 집 잔칫날이면 함께 어울려 목청껏 노래를 불렀다. 도시와 가깝던 그 마을은 점점 도시화 되어가는 소와 돼지를 키우던 마을…

김해자展(광안 갤러리)_20220922

//보도 자료//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중요무형문화재 107호 김해자(69) 누비장(匠)으로부터 누비 옷을 구매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누비’는 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털·종이 등을 넣거나 때로는 아무것도 넣지 않고 홈질해 만든…

오나카 코지展(네거티브 갤러리)_20220918

//인터뷰//제가 처음으로 부산에 온게 1996년 쯤이었던것 같습니다. 당시 일본의 카메라 잡지 중 아사히 카메라라고 하는 유명한 잡지가 있었습니다. 그곳에서 1년간 연재를 한 뒤 잡지사에서 좋아하는 곳에 갔다와도 된다고 해서 그때 가장 먼저 생각난 곳이 부산이었고…

조귀선展(아보 갤러리)_20220917

//전시 평론// 고충환(Kho Chunghwan 미술평론) 일반화하기는 좀 그렇지만, 대개 그림은 작가를 닮는다고 했다.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그림 속에 자기가 투영된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작가의 그림에도 작가가 보이는가. 작가는 그림 속에 자기를 어떻게 투사하는가. 작가 조귀선은 수채화를 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