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식展(갤러리 미고)_20160308

부산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김경진

정문식의 작품은 도시풍경이다. 그러나 일상적인 도시풍경이 아니라, 수장된 도시이다. 물속에 빠진 도시를 그린 그의 작품은 묘하면서도 낯선 도시 풍경잔상으로 어색한 감상을 자아낸다. 이러한 도시풍경을 그리기 위해 그는 몇 단계 작업과정을 밟아나간다. 가장 먼저 그는 자신이 선정한 도시풍경을 여러 각도에서 사진을 찍어 도시이미지를 채집한다. 그 도시는 이미 자신의 기억 속에 존재하는 도시풍경과 관계가 있다. 사진으로 채집된 도시와 기억 속의 도시풍경을 중첩시켜 유채색은 빼고 흑백으로 전환시킨다. 컴퓨터에서 일련의 작업을 거쳐 도시풍경 이미지를 자신의 기억 속에 있는 이미지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실제풍경과 자신의 기억 속 풍경을 공유하는 과정인 것이다. 이렇게 모노톤으로 공유된 이미지를 연필과 푸른색 아크릴릭 물감으로 캔버스에 옮겨낸다. 그가 그리는 심상의 도시 풍경이 그렇다고 현실과 완벽히 분리된 이미지는 아니다. 현실의 도시풍경을 자신의 기억 속의 도시와 결합하여 시각화시키는 과정인 것이다. 이렇게 바탕이 완성되면 그 위에 공유된 도시를 유화물감을 이용해서 심해로 가라앉히는 작업으로 나아간다. 수몰된 도시풍경으로 완성해나가는 것이다. 이 작업은 푸른색 계통의 아크릴릭과 유화물감으로 덧칠하는 붓질의 지루한 반복이다. 그 지루한 반복으로 흘러가는 시간의 흔적이 담겨있는 도시와 자신의 흘러간 시간 속에서 생성된 기억 속의 도시풍경을 치밀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어쩌면 정문식뿐만 아니라 현대에 사는 우리는 도시화 되어가는 과정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인지도 모른다. 특히나 한반도에 사는 우리는 심각한 도시화 과정을 겪어왔다. 사실 인류는 끊임없이 자연을 도시화시키면서 살아왔다. 수백만 년 전 강과 바닷가에 모여 살면서부터 도시를 형성하고 확대해왔다. 그것을 한편으로는 문화생성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엄연히 자연과 멀어지는 과정인 것도 분명하다. 도시의 물리적 공간과 관념적 공간은 다양한 원인 때문에 변화된다. 지형, 기온과 같은 자연환경의 변화는 도시의 물리적 공간을 변화시키고 더불어 삶의 형식까지 변하게 만든다. 그리고 변화된 삶의 형태는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도덕관념 등과 같은 정신적 요인을 변화시켜 새로운 문화정체성을 만들어 내고 결국, 새로운 사회구조 체계를 가진 도시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인 물리적 공간과 관념적 공간의 변화에 의해서 도시풍경은 변화되고, 발전되고 때로는 소멸되어왔다. 그리고 다시 색다른 모습을 가진 도시로 생성되었다. 이 순환적 과정은 도시의 본질이며 속성이다. 모든 도시가 변화되고 결국은 허물어질 수밖에 없는 사실 앞에서 사라지고 잊힌 도시들은 그 도시와 함께 했던 우리들의 추억과 기억만으로 존재하며 유지된다.

웹이미지

이제 우리사회는 산업사회를 거쳐 후기산업사회에 이르러 또 다른, 아직 정확히 정의할 수 없는, 사회로 변화하는 21세기인 지금, 우리는 도시와 분리된 삶은 상상할 수도 없을 정도가 되었다. 이렇게 변화무쌍하고 복잡한 도시이지만 거기에는 두 개의 이중적인 공간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도시는 우리의 삶을 살아가기 위하여 현실에 존재하는 물리적 공간과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정신적 삶을 영위하기 위한 관념적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두 공간은 서로 분리되어 하나씩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두 공간은 함께 뒤섞여 변화하고 발전하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내가 살아온 환경이 나의 생각과 태도를 결정짓는다는 말은 이런 뜻일 것이다. 다시 말하면 물리적 공간의 특성에 따라 삶의 형식과 관념이 규정지어지며, 새로운 삶의 의식이 형성됨에 따라 물리적 공간의 구조와 모습은 변화되고 발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가 변한다는 것은 나를 둘러싼 환경이 바뀐다는 것이고, 도시가 변화한다는 것과 의미가 일치하는 말이다. 도시는 발전을 위하여 자신의 모습을 끊임없이 발전시킨다. 현재의 도시 모습은 과거 변화가 축적된 결과이고, 고정된 모습일 것만 같은 지금의 도시도 변화하고 있다. 계속해서 변화하고 그것을 축적하는 과정 속에 있는 나도 변화하고 우리도 변하는 것이다.

그래서 정문식은 변화해온 도시풍경과 그 풍경 속에서 만들어진 자신의 기억을 그리는 것이다. 실재 나를 둘러싼 공간인 도시와 자신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심리적 공간인 기억을 동시에 공존시키는 이중적인 공간구조가 담긴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물리적 공간 속에 투영된 삶의 흔적과 기억을 정문식은 다시 현실로 재현해 내는 것이다. 그러나 정확히 말하면 정문식이 그리는 도시풍경은 이미 사라져 없어진 과거 풍경이거나 혹은 현재에 실재하는 익숙한 건물이 있는 도시풍경이다. 그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달맞이 길과 같은 추억의 장소나 감천동, 누리마루, 부산역과 같이 건물에 의해 장소((site)의미가 확대된 곳들이다. 모두 그의 기억 속에 또는 기억이 존재하는 곳이다. 그는 캔버스 위에서 과거와 현실의 공간을 시각화하고 그 재구성된 공간을 기억의 파편들과 함께 서서히 수몰시킨다. 마치 과학자들이 동식물의 사체 보호와 부패 방지를 위해 포름알데히드 병에 담가버리듯이 그는 도시풍경을 물속으로 가라앉힌다. 이것은 단순히 현실의 도시풍경뿐만 아니라 그의 예전의 경험과 기억이 존재하는 정신적 공간도 함께 물속에 가둬버린다. 이런 과정 혹은 행위는 도시가 새로운 환경에 의해 변화되고 다시 개발되어야 하는 소멸과 생성하는 생리로부터 현재의 도시풍경과 잊혀가는 과거의 삶에 대한 자신의 기억을 보호하려는 의지 때문인지도 모른다. 즉 자신이 가지고 있던 기억의 풍경을 수몰시켜, 현실의 시간을 정지시키고 기억에 대한 지속성을 위한 기재장치라고 보이는 것이다.

정문식이 그린 물에 잠긴 도시는 고요하고 평온하다 못해 적막감까지 느껴진다. 도시의 번화한 거리와 생동감 넘치는 인파는 찾아 볼 수 없다. 단지 이끼 낀 건축물 사이를 자유롭게 헤엄치는 물고기와 날이 밝아 오는듯한 희미한 빛만 있다. 이끼 낀 건축물은 과거 시간과 기억의 축적을 의미하며 여명과 같은 빛은 새 생명을 암시하는 것 같기도 하다. 이제 더 이상 사회, 경제, 정치, 문화 활동의 중심지이며 삶의 유동성과 움직임이 존재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특성과 기능을 가진 도시가 아니다. 또한 보편적 물리적 시간이 존재하는 현실의 공간도 아니다. 물에 잠긴 도시는 현실공간이 아니라 추억과 기억만 있는 심리적 공간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것은 새로운 시간의 시작을 의미한다. 그는 물에 잠긴 도시를 통해 스스로의 기억들을 반추하며 타자의 기억과도 소통하고자 한다. 수많은 세월동안 도시에 새겨졌던 기억을 매개로 존재의 의미를 찾고 삶의 진정성을 되짚어 보는 것이다. 또한 같은 도시 풍경에 대한 기억으로 타자와의 소통의 가능성을 열며 새로운 관계 구축과 공존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현실의 무분별한 재개발과 도시화 사업으로 인해 사라지는 건축물과 획일적으로 변해버리는 도시 풍경과 그로 인해 개인과 타자의 공통된 기억의 상실로 각박하게 변화하는 현대인의 삶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이기도 하다. 앞으로 그가 사라진 과거의 도시와 현존하는 도시의 인상을 형상화하여 잊힌 기억을 어떤 방법으로 관람객들에게 상기시킬지 예상할 수 없다. 다만 분명한 것은 지금처럼 캔버스에 존재하는 구체적인 시간의 의미와 기억의 인식을 규정하지 않고, 그것을 관람객의 몫으로 남겨둘 것이다. 그것은 더 많은 삶에 대한 체험과 기억을 반추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리라.//김경진//

– 장소 : 갤러리 미고
– 일시 : 2016. 3. 8 – 3. 22.

추PD의 아틀리에 / www.artv.kr / abc@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