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소개//
어컴퍼니에서는 프랑스를 거점으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프레데릭 루시앙 Frederique LUCIEN의 개인전 ‘Beautiful day, Beautiful night and Melancholy’가 진행 중이다.
프레데릭 루시앙은 1960년 프랑스 브리앙송 Briançon에서 태어나, 현재 프랑스 파리에서 거주하며 활동 중이다. 프랑스 국립미술학교인 에꼴 드 보자르 Éole des Beaux-Arts 졸업 후, 1991-92년, 2년 동안 로마의 빌라 메디치 Villa Medici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1986년, 미국의 여성 추상화가인 ﹡조안 미첼 (Joan Mitchell, 1925-1992)을 만나며 클로드 모네 (Claude Monet, 1840-1926)의 작업실이 있던 베테유 Véheuil 지역에 거주하며, 그녀를 도왔다. 조안 미첼의 소개로 프랑스의 유명 화상인 ﹡장 프루니에(Jean Fournier, 1922~2006)를 소개받고, 1990년 파리의 장 프루니에 갤러리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다. 그 후 까르띠에 파운데이션의 지원, 장 프랑수아 밀레 상 수상 등을 비롯하여 프랑스 니스의 피카소미술관, 몽펠리에 파브르 미술관 등 유수의 미술관에서 초대전을 가지며 전 세계 미술관과 개인 및 공공 컬렉션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추상과 구상 사이를 오가는 프레데릭 루시앙의 작품은 식물, 사물, 광물, 신체 등의 경계에 있는 유기적이고 본질적인 세계를 다루고 있다. 전체가 아닌 부분, 그 자체가 가지는 특징과 독립성을 형식적 정밀성과 상징적 차원을 결합하여, 페인팅, 드로잉, 꼴라주, 조각, 도자, 판화와 출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조형성으로 풀어나가고 있다.

1987년부터 지속적으로 작가의 토대가 되는 이미지 중의 하나는 식물이다.
이번 개인전에서도 집중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식물과 자연의 형상은 겹쳐지거나 확대되는 등, 점차 추상적인 방향으로 변모된다. 특히 종이를 오리는 컷아웃 기법으로 완성된 장식적 요소, 유기적인 형태의 반복과 변형 등은 프레데릭 루시앙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주요한 특징이다.
이번 개인전 ‘Beautiful day, Beautiful night and Melancholy_아름다운 날, 아름다운 밤, 그리고 멜랑콜리’는 프레데릭 루시앙의 국내 첫 개인전으로, 종이를 자르는 컷아웃 cut-out 기법을 사용하여 작업한 ‘Bell de Jour 아름다운 날 ’, ‘Bell de Nuit 아름다운 밤’, ‘Mélancolie 우울함’, ‘Feuiler 잎 ’ 시리즈 외 캔버스 천 위에 잉크로 제작된 ‘Variation 36/36’, 구리와 동 등의 재료로 식물의 이미지를 잘라 배열한 평면 조각 ‘Jardin d’hiver 겨울정원’ 등을 선보인다.
특히 작가는 개인전의 오프닝 행사, 2주 전부터 한국에 입국하여 부산에서 머물며 수영구의 한 공방에서 한국의 전통공예인 옻칠과 자개 공예를 배웠다. 한번 칠하면 7시간 이상을 말려야 하는 시간과 인내의 결과인 전통 옻칠과 조개껍데기를 하나하나 붙이는 자개 공예는 섬세하고 세밀한 프레데릭 루시앙의 작품 제작방식과 성격과도 잘 맞아떨어졌다. 건조하는 과정에서 높은 습도를 유지해야 하는 전통 옻칠이기에 프랑스의 서쪽 끝, 대서양에 면해있는 브레타뉴 Bretagne 지역의 작업실에 건조대를 만들어 프랑스 현지에서도 이 기법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전통적이고 역사적인 건축물과 초현실적인 고층 빌딩 사이로, 아름다운 바다와 벚꽃이 만개한 부산의 풍경은 프레데릭 루시앙에게 프랑스 파리가 작은 시골처럼 느껴질 만큼 낯설고도 신선한 장면이었다. 한국에서 마주한 다양한 문화적 경험과 전통 공예 기술에서 얻은 영감을 다음 작품에 담아낼 예정이다.//어컴퍼니//
장소 : 어컴퍼니
일시 : 2025. 03. 21 – 05. 11
추PD의 아틀리에 / www.artv.kr / charmbi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