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2025

봄의 향기展(아트웨이 갤러리)_20250318

//전서 소개//추운 겨울을 지나 따스한 햇살과 함께 봄이 왔습니다. 살랑거리는 바람, 알록달록한 꽃과 향기, 싱그러운 새싹 등 설렘 가득한 3월의 봄, 아트웨이 갤러리에서 6번째 기획 ‘봄의 향기’ 전시를 합니다. 봄날의 감성을 담은 작가 9명의 다양한…

윤희배·윤정임展(감내어울터 전시실)_20250316

//윤희배 작가노트// 감천문화마을에 입주작가로 들어온 지 5년 올해가 마지막이다 시간이 훌쩍 지나간다. 스무 마리의 유기견들과의 시작도 세월 흘러 곁에 남은 녀석 3마리. 사랑스러운 아이들은 고스란히 작품 속으로 남아 있게 된다. 곧 보람이고 추억이다. 나 피에로는…

필립 퍼커스展(스페이스 이신)_20250319

//언론 보도// ‘스페이스 이신(SPACE LEESEEN)’에서 근래 사진예술 전시와 인문 활동이 꾸준히 펼쳐진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모처럼 발신된 민간 인문·예술 공간 소식이기도 했고, ‘과연 어떤 곳이기에’ 하는 호기심도 일었다. 지난 13일 이곳에 찾아가 보았다. 스페이스 이신은 두…

with ewell展(이웰 갤러리)_20250322

//전시 소개// 이웰갤러리 이전 개관전 ‘with ewell’ 이웰갤러리는 새로운 공간에서 첫 발을 내딛으며 개관전 ‘with ewell’을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갤러리의 정체 성과 향후 방향성을 모색하는 의미를 담아 기획 되었으며, 다양한 조형적 실험과 개성을 지닌 작가들의…

정철교展(아리안 갤러리)_20250311

//평론// 2009년 이전의 정철교 작품들은 “나(실존)-‘나’(실재성)/배경(현실의 정경)-‘배경 없음’(현실 지우기)”라는 구도에서 “‘나’(실재성)/‘배경 없음’(현실 지우기)”를 극대화함으로써 ‘나’의 실재성을 재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었다. 그후 그가 원자력 발전소 주변으로 작업실을 옮긴 그 짧은 삶의 변화에서 작품은 미학적 재현으로서의 ‘나’(실재성)가…

도시미니얼展(갤러리 스페이스 포포)_20250313

//기획 의도// 예술에서 미니멀리즘을 살펴보면 1960년대 초 시작되었으며, 미니멀 아티스트들이 표현한 미니멀 아트의 특징은 사물 자체의 본질을 드러내고자 미술가의 감정과 사상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또한 감상자의 감정 이입도 함께 차단하는 것이었다. 추상 표현주의에서 강조했던 미술가의…

김병구展(갤러리 라함)_20250311

//평론 : 윤경식// 학(學)과 도(道)의 무한한 중첩-김병구 작가, 깨달음!! 우리는 어릴 때부터 죽으라고 공부하란 소리를 듣고 자랐다. 공자 때문이다. 공자는 매일 한가지씩 더해가는 것을 ‘學(학)‘이라고 했다. 지식과 개념과 이론과 경험을 매일 한 가지씩 공부하라는 것이다.…

3월, 피어나다展(레오앤 갤러리)_20250312

//신지영 작가 노트// 륵(泐, indite)이라는 미학적 개념을 성찰해 가는 중에 부산의 레오앤 갤러리에서 전시 초대를 받았다. 레오앤 갤러리는 부산 강서구에 있는 꽤 근사한 전시장이다. 갤러리 대표님의 섬세함과 그 열정에 감사하며, ‘3월, 피어나다’ 기획전시로 부산의 양호정…

이혜영展(금샘미술관)_20250312

//작가 노트// 0은 어디서부터 시작인지 끝인지 알 수 없다. 영원히 존재하는 듯 소멸되는 사라짐이다. 1은 0으로부터 더해지는 것이다. 1이 더해지고 더해져서 또 다른 1이 된다. 하나는 부분이기도 하며 전체를 이루어 새로운 하나가 되기도 한다. 내가…

시간의 흔적展(갤러리 재희)_20250213

//전시 소식// 이번 전시는 한국 현대미술의 중요한 흐름인 단색화와 조선 시대부터 이어져 온 고가구를 하나의 공간에서 조화롭게 배치하여, 두 예술 형식이 지닌 미학적 공통점과 차이를 탐색하는 자리입니다. 단색화는 반복과 절제 속에서 깊이 있는 색채와 물성을…